블루투스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2006년의 어느날이었다. 당시 내 가방 속에는 디지탈큐브 T43 PMP와 코원 U2에 딸려온 이어폰이 들어 있었다. 그런데 그 선이 조금씩 걸리적거린다는 느낌이 들었고, 결정적으로 볼만한 미드가 모자라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겼다.
그래서 그 담부터는 출퇴근할 때 그냥 음악만 듣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PMP에 이어폰을 연결해서 듣기가 어렵다. 음악만 들으려고 하는데 PMP를 손에 들고 다니기는 무겁고(T43이 300g 정도 된다.) 가방에 넣고 다니기에는 선도 좀 짧고 걸리적거리는 등....
MP3P인 U2를 다시 가지고 다닐까 생각했는데, 이 녀석이 방치된지 어언 2년이 지나서인지 동작하지 않는 것이었다. 음... 그래서 생각했다.. 좋은 방법이 뭐 없을까...
다행인지 불행인지 우리 팀에는 자칭 얼리 어댑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그리고 습관적으로 최신 모델 구해서 몇달 정도 써보고 싫증다면 거의 구입한 가격에 되파는 솜씨 좋은 되팔이(자칭이다)도 있다. 그래서 평소에 새로운 기기에 대한 뽐뿌는 전혀 부족하지 않은 실정이다.
그래서 요리조리 생각하다가 낸 아이디어가 블루투스였다. 블루투스가 되는 스테레오 헤드셋과 블루투스가 되는 핸드폰과 블루투스가 되는 컴퓨터가 만나면 환상적인 조합 아니겠는가?
그래서 질렀다. 에니콜 SPH B500은 디자인도 맘에 들어했던 녀석인데 블투에 뮤직 플레이어 기능에 외장 메모리도 지원하는 녀석이다. MP3P 겸, 휴대폰 겸해서 쓰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낙점..
노트북은 도시바 Portege R200이다. 2005년 8월에 샀는데.. 두께가 최근에 나온 맥북 에어에 필적할만큼 얇다. 얇은쪽 9mm, 두꺼운 쪽 19mm, 무게는 1.2kg, 화면은 12.1인치 4:3 형태이다. 그런데 이 녀석이 블투가 내장되어 있지 않은 거다.. 이 모델에서 좀 뒤에 나온 녀석이 모델명 205인데 거기에는 블투가 내장되어 있다. 억울했다.
그래서 찾아보았다. 내장시킬 수 있는 모듈이나 PC카드 형태로 나오는 거 등등... 그러다가 USB에 연결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찾았다. 이 녀석 역시 도시바에서 나온 거다. 암튼 아쉬운 대로 그걸로 해결했다.
그 담에는 헤드셋이었는데.. 참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는 도중에 떡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블루투스 마우스도 하나 샀다. 로지텍꺼다.
헤드셋은 몇달을 고르고 골라서 결정한 것이 로지텍 프리펄스다. 이 녀석도 결코 가격이 저렴하거나 하지는 않다. 기능은 그냥 블루투스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기능밖에 없다. 충전식이고, 넥밴드 타입이며, 헤드셋에는 볼륨 조절하는 기능밖에 없다. 단순함과 음질에 대한 평이 나쁘지 않아서 최종으로 이녀석을 골랐다.
그리고 1년이 지났다. 아이팟 터치를 갖고 싶다는 생각은 진작부터 했다. T43이 너무 무겁기도 하고, 음악을 듣는 용도로는 적합하지도 않는 등 갖다붙이자면 이유는 참 많다.
그래도 꾹 참고 있는 이유는 아이팟 터치 현재 모델은 블투가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동글이도 있다. 로지텍 프리펄스는 아이팟에 최적화된 동글이를 제공한다.(아이팟 터치가 아니라 나노와 디자인이 잘 맞을 거 같은) 그러나 아이팟 켜고 헤드셋 켜고 동글이 켜고 각각 따로 꺼야 되는 불편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싶지는 않다. 그래서 2세대 터치를 기다리고 있다. 2세대는 블투 내장일까? 아이폰으로 가고 싶기도 하지만 국내에 언제 들어올지 알수 없으니....
1년쯤 쓴 경험으로 블투 헤드셋이 꼭 좋은가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보고 있다. 좋은 점은 딱 하나다.. 무선의 자유... 거의 걸리적 거리지 않는다는 거..
불편하거나 제약 사항이 되는 점은 꽤 많다. 첫째 음질의 문제다. 아무래도 블투는 아직 이런 부분은 여지가 많다. 소리가 고저가 흐리고 가운데로 뭉치는 느낌이다. 약간 웅~하는 느낌이랄까... 내가 음악 전문가도 아니지만 요즘 그런 생각이 든다. 어쩌면 이것은 헤드셋 문제가 아니라 휴대폰안의 음원칩 문제일지도 모르겠다.
둘째, 사용 시간의 제한이다. 이 프리펄스는 완충 기준으로 4시간 정도가 최대인 것 같다. 충전 케이블을 가지고 다니기도 귀찮은 노릇이니... 4시간만 지나면 이 녀석은 죽어버린다. 그럼 다시 충전해야 하는데 충전하는 동안에는 사용할 수 없다. 이어폰이나 그냥 헤드폰이라면 연결만 하면 되는데... 따로 충전도 시켜야 되고, 바닥나면 쓸 수도 없고...
세째, 구동시키는 귀차니즘이다. 헤드셋 켜고, MP3P 켜고, 동글이 켜고... 이런 식으로 동작시키는 건 꽤나 귀찮다. 끌때도 반대로 해야 되니... 이렇게 거추장스러우니 짧은 거리 이동일 때는 아예 켜지 않는다..(켜고 끄기 귀찮아서...)
9/9에 만약 2세대 아이팟 터치가 발표되면 어떻게 해야 될까 생각해 보고 있다.
2008년 9월 4일 목요일
Notes 메일을 GMail로 올리는 방법
이것은 아래에 쓴 포스트에서도 언급한 내용입니다. 이전에 사내 그룹웨어가 Lotus Notes 였기 때문에 당시의 메일을 Notes 데이터베이스로 복제나 보관의 방법으로 보관해 두었습니다. 여러개의 DB로 가지고 있지요. 지금은 사내 그룹웨어가 MS Exchange 기반으로 바뀌어서 이전의 메일을 보기 위한 용도로 Lotus Notes를 사용해야 하는 상태입니다. 그래도 가끔씩 히스토리를 찾을 때가 있는데 지워버리기는 뭣하고 해서 메일을 통합해서 보관하고 열람하는 방법을 찾던 중 Gmail이 쓸만한 대안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로컬에 Outlook에 POP3로 내려받아 가지고 있던 메일은 IMAP을 통해서 Gmail에 올렸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냥 Notes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던 메일들이 문제가 되었지요. 방법을 고민해 보다가 그냥 가장 단순하고 무식한 방법을 골렸습니다. Notes 메일을 POP3를 통해서 Outlook으로 내려받은 다음 다시 Gmail로 업로드하는 것이지요. 아래에 그 방법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필요한 분들은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Notes 메일도 메일을 POP3로 내려받은 다음 IMAP을 통해서 Gmail에 업로드했습니다. 이 작업들을 할 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앞으로는 이전 history를 찾아야 될 때는 Gmail에 가서 검색하면 됩니다.
그래서 로컬에 Outlook에 POP3로 내려받아 가지고 있던 메일은 IMAP을 통해서 Gmail에 올렸습니다. 그리고 이제 그냥 Notes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던 메일들이 문제가 되었지요. 방법을 고민해 보다가 그냥 가장 단순하고 무식한 방법을 골렸습니다. Notes 메일을 POP3를 통해서 Outlook으로 내려받은 다음 다시 Gmail로 업로드하는 것이지요. 아래에 그 방법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필요한 분들은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몇 가지 테스트를 해 봤는데 그래도 간단한 방법은 Notes 데이터베이스로 가지고 있던 메일을 모두 POP3로 내려받은 다음에 그 메일을 다시 Gmail로 올리는 것입니다. 물론 여건이 되면 Gmail에서 Domino 서버에서 바로 끌어가도록 세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만, 네트웍적인 제한이 많으니까요.
- 준비물: PC 1대, Lotus Domino 서버(6.0 이상), Outlook Express, 백업해 둔 자신의 Notes 메일 DB, Lotus Notes Client(Designer 포함)
- Domino 서버를 설치하고 세팅한다.
- 자신의 메일 DB를 Domino 서버로 올린다.
- Notes Designer를 사용해서 View 중에서 "($POP3)"의 View condition을 모두 삭제한다.
- OE를 실행한 다음 POP3를 통해서 내려 받는다.(호스트명 등이 필요하면 hosts 파일을 이용할 것)
- 내려받은 메일을 IMAP을 통해서 Gmail로 다시 올린다.
Notes 메일도 메일을 POP3로 내려받은 다음 IMAP을 통해서 Gmail에 업로드했습니다. 이 작업들을 할 때 주의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MS Outlook은 사용하지 말 것(내려받으면 날짜가 내려받은 날짜로 바뀌는 메일이 다수 발생함)
- POP3 View의 조건을 제거하면 보낸 메일까지 모두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 OE에서 "메시지 규칙"을 사용해서 보낸 메일은 다른 폴더로 이동되도록 설정하면 편리합니다.
- OE 의 메시지 규칙에 보낸 사람이 "tomais.kr@gmail.com"인 경우에 보낸 편지함으로 자동 이동하도록 등록해 두면 편합니다.(이유는 모르지만, 보낸 편지함은 선택할 수가 없어서 "임시 보관함"으로 이동하도록 해 두고, 나중에 끌어다가 옮겼습니다.)
- 만약 내려받을 메일의 총 량이 2GB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면 약간의 메시지 규칙을 이용해서 하나의 폴더에 저장된 메일이 2GB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OE에서는 2GB가 넘으면 메일이 모두 사라지는 버그가 있습니다.)
- 필자는 "받은 편지함(2)"라는 폴더를 만들고, 메일 중에서 크기가 "1MB"가 넘는 메일들은 이 폴더로 이동시키도록 했습니다.
앞으로는 이전 history를 찾아야 될 때는 Gmail에 가서 검색하면 됩니다.
2008년 9월 3일 수요일
구글이 웹 브라우저를 내놓다.
오늘 구글에서 크롬을 발표하고 베타 버전을 배포하기 시작했습니다. 이 녀석이 많이 퍼지면 웹 개발자들이나 사이트들은 지원 문제로 괴로워질까요?
한동안 우리나라의 웹 세상은 IE에만 맞추면 되었습니다. 필자도 그룹웨어 같은 걸 구축하면서 웹 개발을 해본 적이 있는데, 고객과 지원해야 하는 IE 버전을 합의한 다음 해당 IE에서만 동작되도록 개발하면 되었습니다.
그것도 그리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 안에서도 나름 거의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다 가져다 썼습니다. 지금은 xmlhttp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Web 2.0과 함께 널리 알려졌지만, 저는 2001~2002년에 그런 방식으로 사이트를 구축하고 개발했었습니다. 최초의 아이디어는 클라이언트/서버 그룹웨어에서는 변경된 데이터 부분만 화면에 업데이트하면 되는데, 웹이라고 해서 매번 페이지 전체를 리프레시하면서 서버에도 부하를 주고, 화면에서 뿌리는 것도 늦어지게 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에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IE의 새로운 버전이 나올 때마다, 새로운 브라우저가 등장할 때마다 이것은 매번 고객사나 우리를 괴롭게 했었습니다. 그렇다고 쉽사리 새로운 버전의 브라우저를 지원해 주겠다고 약속하기는 어려웠던 것이 무슨 문제가 생길지 몰라서였습니다.(사실 일일이 테스트하고 확인해보기 전에는 장담하기 어려운 것이지요.)
이런 인식과 개발방식은 2002년이나 2008년인 지금이나 별로 달라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IE 7.0 이 표준을 준수하겠다는 컨셉을 내걸고 출시되었을 때 많은 논란과 고민들이 있었고, 많은 회사들이 IE에 최적화되는 것이 아니라 웹 표준을 따라야 겠다고 다짐했을 텐데도... 지금도 별로 달라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w3c 사이트에 가면 HTML Validator 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에 특정 웹 주소를 입력하고 검사를 실행하면 해당 페이지가 표준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고, 위반했거나 문제가 되는 부분들을 모두 표시해 줍니다.
http://validator.w3.org
Daum이 2005년부터 표준을 지키겠다는 것을 내걸었었고, 지금도 다음의 첫 페이지는 항상 이 테스트를 통과합니다. 네이버도 마찬가지이지요.
저는 사실 이것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웹이라는 것은 표준이 있습니다. 그 표준을 준수하면 사실상 브라우저들에 대해서 별로 걱정할 게 없다는 것이지요. 브라우저들은 당연히 표준을 지원합니다.
IE 7.0에 최적화되도록 사이트를 개발할 것이 아니라, HTML 표준을 준수하면 되는데 말입니다. 개발자들도 IE에서 경험하고 습득한 자신의 노하우를 최대한 우려먹으려고 하는 것 같고, 사이트를 구축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쪽에서도 이런 진지한 고민이 적은 듯 합니다.
최근에 MS 에서 IE 8을 발표하면서 ActiveX 지원을 또 더 축소하겠다고 했더니 또 정부까지 나서서 온 나라가 시끄럽지요. 표준을 준수하고 원칙을 지키는 것은 일조 일석에 모두 바꿀 수 없습니다. 꾸준한 노력을 통해서만 가능하지요.
우리나라의 이 인터넷 환경에서도 표준과 원칙이 중심이 되는 때가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Firefox를 쓰다보니 그래도 꽤 많은 사이트에서 초쿰씩 이상하게 보이더군요.
한동안 우리나라의 웹 세상은 IE에만 맞추면 되었습니다. 필자도 그룹웨어 같은 걸 구축하면서 웹 개발을 해본 적이 있는데, 고객과 지원해야 하는 IE 버전을 합의한 다음 해당 IE에서만 동작되도록 개발하면 되었습니다.
그것도 그리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그 안에서도 나름 거의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은 다 가져다 썼습니다. 지금은 xmlhttp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Web 2.0과 함께 널리 알려졌지만, 저는 2001~2002년에 그런 방식으로 사이트를 구축하고 개발했었습니다. 최초의 아이디어는 클라이언트/서버 그룹웨어에서는 변경된 데이터 부분만 화면에 업데이트하면 되는데, 웹이라고 해서 매번 페이지 전체를 리프레시하면서 서버에도 부하를 주고, 화면에서 뿌리는 것도 늦어지게 할 필요가 있느냐는 것에서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IE의 새로운 버전이 나올 때마다, 새로운 브라우저가 등장할 때마다 이것은 매번 고객사나 우리를 괴롭게 했었습니다. 그렇다고 쉽사리 새로운 버전의 브라우저를 지원해 주겠다고 약속하기는 어려웠던 것이 무슨 문제가 생길지 몰라서였습니다.(사실 일일이 테스트하고 확인해보기 전에는 장담하기 어려운 것이지요.)
이런 인식과 개발방식은 2002년이나 2008년인 지금이나 별로 달라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IE 7.0 이 표준을 준수하겠다는 컨셉을 내걸고 출시되었을 때 많은 논란과 고민들이 있었고, 많은 회사들이 IE에 최적화되는 것이 아니라 웹 표준을 따라야 겠다고 다짐했을 텐데도... 지금도 별로 달라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w3c 사이트에 가면 HTML Validator 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에 특정 웹 주소를 입력하고 검사를 실행하면 해당 페이지가 표준을 준수하고 있는지를 알려주고, 위반했거나 문제가 되는 부분들을 모두 표시해 줍니다.
http://validator.w3.org
Daum이 2005년부터 표준을 지키겠다는 것을 내걸었었고, 지금도 다음의 첫 페이지는 항상 이 테스트를 통과합니다. 네이버도 마찬가지이지요.
저는 사실 이것을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웹이라는 것은 표준이 있습니다. 그 표준을 준수하면 사실상 브라우저들에 대해서 별로 걱정할 게 없다는 것이지요. 브라우저들은 당연히 표준을 지원합니다.
IE 7.0에 최적화되도록 사이트를 개발할 것이 아니라, HTML 표준을 준수하면 되는데 말입니다. 개발자들도 IE에서 경험하고 습득한 자신의 노하우를 최대한 우려먹으려고 하는 것 같고, 사이트를 구축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쪽에서도 이런 진지한 고민이 적은 듯 합니다.
최근에 MS 에서 IE 8을 발표하면서 ActiveX 지원을 또 더 축소하겠다고 했더니 또 정부까지 나서서 온 나라가 시끄럽지요. 표준을 준수하고 원칙을 지키는 것은 일조 일석에 모두 바꿀 수 없습니다. 꾸준한 노력을 통해서만 가능하지요.
우리나라의 이 인터넷 환경에서도 표준과 원칙이 중심이 되는 때가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Firefox를 쓰다보니 그래도 꽤 많은 사이트에서 초쿰씩 이상하게 보이더군요.
구글의 영한 번역 실력이 의심스럽다?
이 블로그에 글을 쓸 때마다, 혹은 블로그에서 무엇을 할 때마다 계속 눈에 거슬리는 표현이 있다.
참고로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 화면에 나와 있는 입력 가능한 곳이 4개 있는데, 이렇게 되어 있다.
직함 : <입력할 수 있는 input 란>
링크 : <입력할 수 있는 input 란>
본문입력하는 곳: <바로 여기 textArea>
레이블: <입력할 수 있는 input 란>
가장 눈에 거슬리는 것이 저 직함이라는 필드 레이블이다. 왜 직함일까? 처음에는 팀장... 이라고 입력할 뻔~했다. 이 페이지만 그런 게 아니고 설정 메뉴 등 여기 저기 직함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그래서 생각해 봤다. 왜 이 필드를 직함이라고 할까? 그냥 짐작에 이 필드의 영문 상태에서는 이름은 "title" 이지 않을까 싶다. 그걸 번역한 누군가가 "직함"이라고 번역해 놓은 거다...
화면도 안보고 그냥 텍스트 > 텍스트로 변역만 했나? 볼 때마다 한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로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 화면에 나와 있는 입력 가능한 곳이 4개 있는데, 이렇게 되어 있다.
직함 : <입력할 수 있는 input 란>
링크 : <입력할 수 있는 input 란>
본문입력하는 곳: <바로 여기 textArea>
레이블: <입력할 수 있는 input 란>
가장 눈에 거슬리는 것이 저 직함이라는 필드 레이블이다. 왜 직함일까? 처음에는 팀장... 이라고 입력할 뻔~했다. 이 페이지만 그런 게 아니고 설정 메뉴 등 여기 저기 직함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그래서 생각해 봤다. 왜 이 필드를 직함이라고 할까? 그냥 짐작에 이 필드의 영문 상태에서는 이름은 "title" 이지 않을까 싶다. 그걸 번역한 누군가가 "직함"이라고 번역해 놓은 거다...
화면도 안보고 그냥 텍스트 > 텍스트로 변역만 했나? 볼 때마다 한심하다는 생각이 든다.
IE -> FF, 브라우저를 바꾸다.
ActiveX로 도배되어 있고, 웹 표준을 준수하는 사이트가 채 30% 정도밖에 안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환경에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MS의 인터넷익스플로러를 써야 됩니다. 선택의 여지가 없죠.
저도 IE가 별로 맘에 들지 않아서, 가끔 FF를 깔아보지면 몇시간이 지나지 않아 다시 IE를 띄워야 되는 상황에 직면하곤 했습니다. 그래서 다시 IE로 돌아오곤 했는데... 최근 1개월 동안은 집이나 직장에서나 한번도 IE를 실행시킬 일이 없었기에 그 방법을 까페의 여러분들께 공유합니다. (한달 전에 IE 바로가기를 지워버려서 IE를 실행하려면 꽤 귀찮답니다.)
방법은 너무 간단합니다.
1. FF 3.0을 설치합니다.
http://www.mozilla.or.kr/ko/
2. FF 사이트에서 "IETab"이라는 플러그인을 하나 더 받아서 설치합니다.
https://addons.mozilla.org/ko/firefox/addon/1419
설치가 끝났습니다. 이제 FF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IE는 바로가기도 지워버리세요.
그 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뱅킹이나 ActiveX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되는 사이트가 꽤 있는데 그런 사이트는 어떻게 하느냐구요? 그런 사이트들 때문에 IETab을 설치했으니까요. IETab으로 실행할 경우 그 내부는 IE와 똑같습니다.
그런 사이트에 대처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아주 조금 불편합니다.)
1. 우리회사 그룹웨어시스템과 같이 IE가 아니면 로그인조차 할 수 없으며, 아주 자주 드나드는 사이트
- 도구 > IE Tab 설정 메뉴를 실행합니다.
- 사이트를 등록해 둡니다.
- 다음부터는 이 사이트는 기본으로 IE 엔진으로 실행됩니다.
2. 자주 가지는 않지만 갈때는 IE를 써야만 되는 경우
- 탭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누르시면 메뉴 중에서 "렌더링 엔진 전환"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 그 메뉴를 실행하면 해당 탭내의 브라우저 창은 IE Tab으로 전환됩니다.
- Tab 모드로 전환하지 않았으면 오른쪽 메뉴를 사용할 수 없으니, "Ctrl-T"를 눌러서 탭 모드로 전환해서 쓰시면 됩니다.
저는 그렇게 온갖군데를 돌아다니지 않아서일 수도 있지만, IE를 반드시 요구하는 사이트는 생각보다 많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은 그냥 FF 상태로 사용 가능했구요. 몇몇 사이트들만 IE Tab으로 전환해서 씁니다.
여담으로 FF를 쓰면 좋은 점...
- 적어도 제가 느끼기에는 FF가 IE보다 더 가볍고 더 빠릅니다.
- 웹 개발하는 분들은 FF 플러그인 중에서 FireBug 같은 걸 설치하면 디버깅 모드로 브라우징이 가능합니다.
- 특이한 점은 복사방지되어 있는 페이지들이 있는데 FF에서는 아무 소용 없습니다. 다 드래그가 됩니다.
온 나라 사이트가 ActiveX로 도배가 되어 있어서 MS가 새로운 브라우저를 내놓을 때마다 난리를 치면서도 그 때만 지나고 나면 다시 조용해 지는(근본적인 대책은 생각하지도 않는) 것은 문제라고 봅니다. 개발사나 사이트 운영하는 측에는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IE를 쓰니까 IE에만 최적화되면 된다는 논리이고, 사용자는 대부분의 사이트가 IE에만 최적화되어 있으니 어쩔 수 없이 IE를 쓴다는 식의 이야기는 지겹게 들어왔습니다.
누군가가 바뀌어야 된다면 나부터 바꿔보고 싶었습니다. FF를 쓰는 사용자가 한명 더 늘고, FF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PC가 나로 인해 4대쯤 늘었습니다.
즐거운 인터넷 되시길...
저도 IE가 별로 맘에 들지 않아서, 가끔 FF를 깔아보지면 몇시간이 지나지 않아 다시 IE를 띄워야 되는 상황에 직면하곤 했습니다. 그래서 다시 IE로 돌아오곤 했는데... 최근 1개월 동안은 집이나 직장에서나 한번도 IE를 실행시킬 일이 없었기에 그 방법을 까페의 여러분들께 공유합니다. (한달 전에 IE 바로가기를 지워버려서 IE를 실행하려면 꽤 귀찮답니다.)
방법은 너무 간단합니다.
1. FF 3.0을 설치합니다.
http://www.mozilla.or.kr/ko/
2. FF 사이트에서 "IETab"이라는 플러그인을 하나 더 받아서 설치합니다.
https://addons.mozilla.org/ko/firefox/addon/1419
설치가 끝났습니다. 이제 FF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IE는 바로가기도 지워버리세요.
그 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뱅킹이나 ActiveX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되는 사이트가 꽤 있는데 그런 사이트는 어떻게 하느냐구요? 그런 사이트들 때문에 IETab을 설치했으니까요. IETab으로 실행할 경우 그 내부는 IE와 똑같습니다.
그런 사이트에 대처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아주 조금 불편합니다.)
1. 우리회사 그룹웨어시스템과 같이 IE가 아니면 로그인조차 할 수 없으며, 아주 자주 드나드는 사이트
- 도구 > IE Tab 설정 메뉴를 실행합니다.
- 사이트를 등록해 둡니다.
- 다음부터는 이 사이트는 기본으로 IE 엔진으로 실행됩니다.
2. 자주 가지는 않지만 갈때는 IE를 써야만 되는 경우
- 탭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누르시면 메뉴 중에서 "렌더링 엔진 전환"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 그 메뉴를 실행하면 해당 탭내의 브라우저 창은 IE Tab으로 전환됩니다.
- Tab 모드로 전환하지 않았으면 오른쪽 메뉴를 사용할 수 없으니, "Ctrl-T"를 눌러서 탭 모드로 전환해서 쓰시면 됩니다.
저는 그렇게 온갖군데를 돌아다니지 않아서일 수도 있지만, IE를 반드시 요구하는 사이트는 생각보다 많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은 그냥 FF 상태로 사용 가능했구요. 몇몇 사이트들만 IE Tab으로 전환해서 씁니다.
여담으로 FF를 쓰면 좋은 점...
- 적어도 제가 느끼기에는 FF가 IE보다 더 가볍고 더 빠릅니다.
- 웹 개발하는 분들은 FF 플러그인 중에서 FireBug 같은 걸 설치하면 디버깅 모드로 브라우징이 가능합니다.
- 특이한 점은 복사방지되어 있는 페이지들이 있는데 FF에서는 아무 소용 없습니다. 다 드래그가 됩니다.
온 나라 사이트가 ActiveX로 도배가 되어 있어서 MS가 새로운 브라우저를 내놓을 때마다 난리를 치면서도 그 때만 지나고 나면 다시 조용해 지는(근본적인 대책은 생각하지도 않는) 것은 문제라고 봅니다. 개발사나 사이트 운영하는 측에는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IE를 쓰니까 IE에만 최적화되면 된다는 논리이고, 사용자는 대부분의 사이트가 IE에만 최적화되어 있으니 어쩔 수 없이 IE를 쓴다는 식의 이야기는 지겹게 들어왔습니다.
누군가가 바뀌어야 된다면 나부터 바꿔보고 싶었습니다. FF를 쓰는 사용자가 한명 더 늘고, FF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는 PC가 나로 인해 4대쯤 늘었습니다.
즐거운 인터넷 되시길...
2008년 9월 2일 화요일
Gmail로 메일을 통합하는 방법
어떤 이유에서건 메일을 백업하고 보관해 두는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러나 검색이나 보관될 메일을 다시 열람하는데 여러 번거로움과 귀차니즘을 겪고 있을 것이고, 그래서 그냥 찾아보는 것을 포기하는 경우도 있을 것입니다.
저는 2003년부터 모든 메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들이 항상 유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히스토리를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고, 기억력에 한계가 있는 인간으로써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나 보관하는 방법이나 보관된 메일을 검색하고, 해당 메일을 찾아서 다시 내용을 열람하는 방법이 편리하지 않은 현실에 불만을 가지고 있고, 현재 메일을 Outlook에 보관하고 있으면서 Outlook은 2GB가 차면 메일이 사라지는 버그가 있다는 기사까지 난 마당이라서 한편 불안감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생각하고 있는 문제점(해결해야 될 사항)
- 이전에 쓰던 메일 시스템이 Lotus Notes 였기 때문에 Notes 데이터베이스로 보관된 메일도 있고, 2008년 이후에는 Outlook에 메일이 보관되어 있다.(그것도 여러개로 나뉘어져 있다.)
- 메일이 이렇게 여러 DB에 분산되어 있어서 검색하는 것도 꽤 번거롭다.
- Outlook을 쓰다보니 보낸 메일은 내려받을 방법도 없다.(보관은 어떻게?)
- POP3로 내려받아두니 그 PC에서만 검색과 열람이 가능하며, 다른 장소에서는 보관된 메일을 볼 수가 없다.
- 가지고 있는 메일을 모두 합치면 5GB 정도 된다.
- OE에서는 최대 2GB 이상을 보관할 수 없다.(메일이 더이상 보이지 않게 됨)
조사와 검토를 통해 얻은 결론(Gmail)
- 7GB의 무료 메일 용량이 제공된다.
- 더 늘어나면 일정 비용을 내고 용량을 확장하면 된다.(10GB($20), 40GB($75), 150GB($250)...)
- 어디서나 메일에 접근할 수 있다.
- 검색이 매우 편하고 쉽다.
- IMAP이 지원된다.
- Gmail에 POP3 세팅해두면 다른 메일 계정들의 메일이 자동 백업된다.
Gmail로 합치는 방법
- Gmail에 POP3로 메일 끌어오기 기능에 계정들을 등록해서 자동으로 끌어가게 하는 방법
- 로컬PC에 POP3로 내려받아 둔 메일은 IMAP을 이용해서 다시 Gmail로 올리면 된다.
- 보낸 메일도 로컬에 가지고 있다면 IMAP을 통해서 Gmail로 다시 올릴 수 있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Gmail Loader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던데 무시하십시오. 그것들은 IMAP이 지원되기 전의 방법이니까요.
IMAP을 이용하는 방법
Gmail은 SSL을 통한 IMAP을 지원합니다. 자세한 설정 방법은 Gmail도움말을 참고하십시오.
- Outlook Express 등 사용하는 메일 클라이언트를 실행한 다음 IMAP으로 Gmail을 등록한다.
- Gmail이 동기화되면 서버상의 폴더들이 그대로 OE에도 나타난다.
- 올리고자 하는 메일들을 선택한 다음 끌어다가 해당 폴더에 넣는다.
- 모두 올라갈 때까지 기다린다.
참고로 속도는 그렇게 빠르지 않습니다. 메일 양이 많다면 인내심을 가지고 올리셔야 됩니다. 대략 100MB 당 1시간 정도 걸리는 것 같습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